생물정보학3 생물정보학에서의 비교? 생물정보학에서의 비교란? 안녕하세요. 어쩌다 보니 이어서 생물정보학에 대한 포스팅을 하게 되는데요. 저에게 그런 건 중요하지 않습니다. 글 감이 많이 떠오르지가 않거든요. 이번 포스팅은 정보 전달보다는 제 생각을 위주로 작성해 보겠습니다. 생물정보학에서의 비교? 생명체의 다양성은 DNA의 유전정보의 다양성에 근거하여있으며 이는 유전정보의 유사성은 개별 생명체의 유사성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전정보의 차이는 돌연변이, 삽입, 결실 등에 의한 서열정보의 변화라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서열변이가 흔적이라 생각하여 단백질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더 많은 생명현상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서열 비교를 통해서 DNA에 저장된 유전정보를 앎으로써 단백질의 단백질의 구조 결정 등을 .. 2020. 8. 26. 생물정보학, omics(+시스템생물학), epigenetics에 과한여 생물정보학, omics, epigenetics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그동안 생물정보분석과 NCS, RNA_seq과 같은 유전체 분석에 관한 포스팅을 상당히 많이 했는데요. 생각해 보니 관련 학문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았더라고요. 요즘 생물학계에서 아주 유망한 빅데이터를 가지고 유전체를 분석하고 연구하는 생물학과 현대 기술을 결합한 학문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 그중에서 오늘 딱 3가지만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바로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생물정보학 첨단 분자생물학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방대한 양의 데이터가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생물학적인 data를 이용하여 다양한 전산학(computer calculations) 및 통계학에 접목시키는 것을 생물정보학이라고 합니다. 방대한 양의 b.. 2020. 8. 26. 균유전체학(Metagenomics) 이해하기 (2) 균유전체학(Metagenomics) 이해하기 유전체학에서 Metagenomics로 : 첫 단계 학문으로서의 유전체학은 현재 40년이 되었습니다. 우리 종의 게놈을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개념은 1980년대 초부터 논의되기 시작했으며, 1984년과 1985년에 연방 후원 워크숍에서 진지하게 고려되었습니다. 조종사 프로젝트는 1986년에 시작되었으며, 2000년에 인간 게놈 프로젝트(HGP)의 완성은 생물 의학을 크게 가속했을 뿐만 아니라 그것을 변화시켰습니다. 개별 분자와 유전자의 수준에서 처음에 많은 질문이 게놈과 시스템의 수준에서 더 좋고 더 완전한 답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인간에게만 해당하는 것이 아닙니다. 생물학에서 주요 종합 주도를 시작하는 것은 거의 상상할 수 없는 일입니다. 게놈.. 2020. 7. 8. 이전 1 다음